[속보] 尹 “의료개혁특위 4월 구성…병원 밖 투쟁 아닌 논의 통한 개혁을”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139회 작성일 24-03-21 23:12본문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전공의를 비롯한 의사단체들도 (특위에) 참여해서 병원 밖 투쟁이 아닌 논의를 통해 의료개혁을 위한 구체적 실행방안을 함께 만들어가길 기대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정부가 의료개혁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의사, 간호사, 병원 관계자, 환자, 가족, 전문가들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의사들의 협력이 가장 필요한 만큼 머리를 맞대고 허심탄회하게 논의를 해야 한다고 했다.
의료개혁을 주제로 대통령이 주재하는 연쇄 토론회도 예고했다. 윤 대통령은 올해 들어 20차례 개최된 민생토론회를 언급하면서 제가 직접 주재하는 민생토론회 형식의 의료개혁 토론회를 앞으로 꾸준히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일부 의료계에서 주장한 의과대학 입학정원의 ‘단계적 증원’, ‘증원 연기’에는 분명한 선을 그었다. 윤 대통령은 일각에서 의대 정원을 향후 단계적으로 늘리자고 주장하지만 약 27년간 의대 정원이 감축된 상태로 유지가 되어 왔기 때문에 의료수요 증가 속도에 비춰볼 때 절박한 우리 의료 현실 상황과 너무나 동떨어진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현재 우리나라 의사 수는 11만2000명으로, OECD 평균에 비해 무려 8만명이 부족하다면서 증원을 늦추면 늦출수록 그 피해는 결국 국민 모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매년 증원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과 갈등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데 매년 국민들이 의사들 눈치를 살피면서 마음을 졸여야 한다면, 제대로 된 나라라고 할 수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윤 대통령은 의대 증원에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는 의료계 목소리에는 국민이 동의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단계적 접근이나 증원 연기로는 국민의 생명을 살리고 지역과 필수의료의 붕괴를 막는 의료개혁을 결코 완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증원되는 입학 정원은 비수도권 중심으로 배분한다고 재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내년도 의대 정원 증가분 2000명을 비수도권 지역 의대를 중심으로 대폭 배정해 지역 필수의료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원된 정원은 지역별 인구와 의료수요, 필수의료 확충 필요성, 대학별 교육여건 등을 감안해 먼저 권역별로 배정한다. 이어 권역 내에서 의과대학별로 나눠 정원 배정이 이뤄진다고 윤 대통령은 설명했다.
전공의에 이어 의대 교수들이 집단 사직 등 집단행동을 예고한 데는 국민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부여된 의사면허를, 국민을 위협하고 불안하게 만드는 수단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윤 대통령은 환자의 곁을 지키고, 전공의들을 설득해야 할 일부 의사들이, 의료개혁을 원하는 국민의 바람을 저버리고 의사로서, 스승으로서 본분을 지키지 못하고 있어 정말 안타깝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금 우리 앞에 있는 의료개혁이, 바로 국민을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위한 우리의 과업이며, 국민의 명령이라며 의대 증원 확대를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제주 한라산과 중산간에 외래종 사슴이 영역을 넓혀가면서 노루의 서식지를 위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제23호 조사연구보고서>에 수록된 ‘중산간 지역 외래동물(사슴) 생태연구’를 보면 한라산 등 산지에 외래종 사슴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250여 마리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겨울철에는 국립공원 인근 마방목지에서 190여 마리 서식이 확인됐다. 또 중산간 목장 지역을 중심으로 10∼20여 마리씩 집단을 이뤄 생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슴은 중산간지역에서 겨울을 지낸 후 봄이 되면 고지대로 이동해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진은 사슴 집단이 커지면 노루의 주요 서식지가 잠식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슴은 노루에 비해 몸의 크기가 2∼5배가량 크고 뿔의 크기도 훨씬 커 노루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노루는 경쟁 동물인 사슴을 피해 주변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예전 제주에는 국내 고유종인 대륙사슴이 서식했으나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 모두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에 제주에 서식하는 사슴은 확인되지 않았던 만큼 현재 관찰되는 사슴은 모두 외래종으로, 일본꽃사슴과 대만꽃사슴, 붉은사슴 등으로 추정된다.
외래종 사슴이 제주 산간에 서식하게 된 것은 1992년~1993년 한라산에 뛰노는 사슴과 백록의 의미를 되살리려고 3차례에 걸쳐 방사한 13마리가 번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농가에서 사육되던 사슴이 관리 소홀 등으로 탈출해 적응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한라산국립공원 인근 중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