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정부,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20대 정책과제 제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89회 작성일 24-05-24 17:41본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국무회의에서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발표한 ‘디지털 권리장전’을 구체적 정책으로 실현하기 위한 범부처 계획을 내놓은 것이다.
자유·공정·안전·혁신·연대 등 5대 원칙에 따라 지정된 20대 과제 중 국민 관심사가 크거나 시급한 8가지는 핵심과제로 선정해 집중 관리한다. 핵심과제는 ▲AI 기술의 안전성 및 신뢰·윤리 확보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 대응 ▲AI 개발·활용 관련 저작권 제도 정비 ▲디지털 재난 및 사이버 위협·범죄 대응 ▲디지털 접근성 제고·대체 수단 확보 ▲비대면 진료의 안정적 시행 ▲연결되지 않을 권리 보호 ▲잊힐 권리 보장이다.
정부는 AI 혁신과 이용자 보호의 균형을 맞춘 관련 법제 제정을 연내 마무리하고, AI 안전성을 검증·연구하는 전담조직을 설치할 계획이다. 딥페이크를 악용한 가짜뉴스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법령 제·개정을 통해 AI 생성물의 워터마크 표시를 의무화하는 등 가짜뉴스 생성·유통·확산 전주기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AI 학습 이용 저작물에 대한 적정 이용 대가 산정방안 등 연구 결과를 종합해 연말까지 저작권 제도 정비 방안도 마련한다.
디지털 재난 및 사이버 위협·범죄 대응을 위한 예산을 늘리고,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행정·금융 등 필수 영역에서 디지털 접근성을 높인다. 의료법 개정을 통해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에도 나선다.
‘연결되지 않을 권리’와 ‘잊힐 권리’도 핵심 정책과제로 추진한다.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업무 시간 외에 연락을 받지 않아도 되는 노동자의 권리를 뜻하는 ‘연결되지 않을 권리’와 관련해 노·사·정 논의를 통해 공론화를 시작한다. 미성년 때 작성한 게시글 등을 지워주는 ‘지우개 서비스’를 통해 아동·청소년들의 ‘잊힐 권리’도 지원한다.
정부는 ‘AI 서울 정상회의’를 계기로 개최되는 22일 ‘AI 글로벌 포럼’에서도 ‘디지털 권리 보장 세션’을 열어 글로벌 디지털 규범 논의를 촉구할 계획이다. 오는 7월부터 관계 부처와 심층 정책연구에 착수하는 동시에 딥페이크 가짜뉴스, 비대면 진료 등의 이슈는 디지털 공론장(beingdigital.kr)을 통한 사회적 논의를 추진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단순히 계획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 성과를 도출해내는 것은 물론, 전 부처가 합심해 디지털 심화 시대 모범국가로서 글로벌 디지털 질서 정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이 여전히 의무고용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 기관·기업의 고용률이 3.17%로 나타났다고 23일 발표했다. 10년 전인 2014년 2.54%에서 꾸준히 오른 수치다.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인 ‘상시 직원 50인 이상 민간기업’의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2.99%로 나타났다. 2014년 2.45%에서 2016년 2.56%, 2018년 2.67%, 2020년 2.91% 등으로 꾸준히 올랐지만 여전히 민간부문 의무고용률 3.1%에는 미치지 못했다.
대기업이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 상승을 이끌었다. 1000인 이상 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전년 대비 0.11%포인트 올랐다.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인원 21만5195명 중 10만9703명(51%)이 500인 이상 기업에 종사했다. 500인 이상 기업은 전체 기업의 6.7%에 그치는데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 절반을 담당하는 것이다. 중소규모 사업장은 여력 부족 등으로 여전히 의무고용을 지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가·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지난해 3.86%를 기록했다. 공공부문 의무고용률인 3.6%를 웃돌았다. 지자체 고용률이 5.9%, 공공기관이 3.90%, 중앙행정기관이 3.43%, 헌법기관이 2.86%, 교육청이 2.51%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자치단체는 장애인을 일자리 사업에 적극적으로 채용했고, 공공기관은 ‘장애인 고용현황 공시 의무화’ 등이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다만 공무원 고용률은 2.86%로 비공무원 장애인 고용률 6.14%보다 낮았다. 노동부는 공무원은 교원, 군무원 등 장애인 채용 여건이 어려운 특정직 공무원이 많아 낮은 것이라고 했다.
임영미 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장애인 고용을 어려워하는 기업 대상 컨설팅을 대폭 확대하고, 중증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규제를 완화하는 등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